홈 > 교수진 > 이심성교수

이심성 교수
직위
교수
연구실
초분자화학 연구실(352-230)
세부전공
분석화학
E-MAIL
TEL
055-772-1483
HOMEPAGE
학력
- 학사 : 고려대학교(1979)
- 석사 : 고려대학교(1981)
- 박사 : 고려대학교(1988)
경력
- 미국 코넬대 및 호주 시드니대 방문교수
- 일본 토호대학교 초빙교수
-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소장
- 경상대학교 두뇌한국(BK)21 분자재료 및 나노화학사업단 단장
-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
- 대한화학회지 상임편집위원
-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(WCU) 나노바이오 화학소재 사업단 단장
-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(Fellow)
- 대한화학회 무기화학분과 회장
- 기초연구실사업 (BRL) 연구책임자
수상
- 대한화학회 학술상 (2014)
-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(2011)
- 시그마-알드리치 화학자상 (2008)
- 무기화학 학술상 (2006)
- 특별상(경상대학교, 2006)
연구분야
초분자화학
- 거대고리 리간드의 초분자 배위화학
- 유기-무기 나노복합소재
- 초분자 화합물의 결정공학
- 기능성 리간드의 유기합성
- 형광 및 발색 나노센서
연구실적
- J. Y. Lee, S. Y. Lee, W. Sim, K.-M. Park, J. Kim, S. S. Lee, Temperature-Dependent 3-D CuI Coordination Polymers of Calix[4]-bis-dithiacrown: Crystal-to-Crystal Transformation and Photoluminescence Change on Coordinated Solvent Removal, J. Am. Chem. Soc. 2008, 130, 6902.
- J. Y. Lee, H. J. Kim, J. H. Jung, W. Sim, S. S. Lee, Networking of Calixcrowns: From Heteronuclear Endo/Exocyclic Coordination Polymers to A Photoluminescence Switch, J. Am. Chem. Soc. 2008, 130, 13838.
- S. Park, S. Y. Lee, K.-M. Park, S. S. Lee, Supramolecular Networking of Macrocycles Based on Exo-Coordination: From Discrete To Continuous Frameworks, Acc. Chem. Res. 2012, 45, 391.
- L. F. Lindoy, K.-M. Park, S. S. Lee, Metals, Macrocycles and Molecular Assemblies of Macrocyclic Complexes in Metallo-Supramolecules, Chem. Soc. Rev. 2013, 42, 1713. (Alfred Werner Nobel Prize 100 Year Celebration).
- S. Kim, L. F. Lindoy, S. S. Lee, Recent developments in the thiamacrocyclic chemistry of the latter d-block elements, Coord. Chem. Rev. 2014, 280, 176.
- I.-H. Park, A. Chanthapally, Z. Zhang, S. S. Lee, M. J. Zaworotko, J. J. Vittal, Metal-Organic Organo-Polymeric Hybrid Framework by reversible [2+2] Cycloaddition Reaction, Angew. Chem. Int. Ed. 2014, 53, 414 (Frontispiece paper).
연구실 소개
- 본 연구진의 주 관심사는 무른 금속과 자기조립이 가능하거나 이들 금속을 게스트로 분자인식 할 수 있는 수용체의 분자설계 및 합성이다. 이를 위해 황을 포함하는 거대고리 리간드를 합성하고 결정제어(Crystal Engineering)를 통하여 양이온, 음이온 및 용매가 초분자 착물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.
특히 황-주개 거대고리에 기초한 불연속 초분자 착물과 배위 네트워크를 어떻게 제어하여 자기조립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. 또한 이를 확대하여 특정 금속이온을 분리 또는 인식할 수 있는 응용성 연구로 막운반 및 용매추출을 시도하고 하고 있다. 이와 더불어 발색 및 형광성 수용체를 이용한 탐침형 나노센서에 관한 연구도 주된 관심사 중 하나이다.
그 외에도 새로운 다핵 배위화합물, 배위고분자의 결정공학, 탐침형 나노튜브 센서, 전기화학 센서 및 발광 소재에 관한 연구를 학내외 및 외국 연구진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.